반응형
로그인 인증 방식을 다이어그램으로 잘 설명한 글이 있어서 정리해보았다.
원본 링크
로그인 인증 방식 비교
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때, id가 관리되어야 한다.
각 솔루션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자.
1. session
- 서버가 신원(identify)을 저장하고 브라우저에 세션 id 쿠키을 전달한다.
- 이것을 통해 서버가 로그인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.
- 하지만 쿠키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.
2. token
- 신원(identity)이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토큰으로 인코딩 된다.
- 브라우저는 향후 인증 요청시 이 토큰을 전달한다.
- 따라서 서버 세션 스토리지가 필요하지 않다.
- 하지만 토큰은 암호화(encryption)/복호화(decryption) 가 필요하다.
3. JWT ( Json Web Token )
- 신뢰를 위해 디지털 서명된 인증 토큰을 사용하여 ID 토큰을 표준화 한다.
- 서명은 토큰에 포함되어 있어서 서버 세션이 필요하지 않다.
4. SSO ( Single Sign On )
- 하나의 중앙 인증 서버(central authentication service)를 사용한다.
- 이것은 한번의 로그인으로 여러개의 사이트에서 작업할 수 있다.
5. OAuth2
- 암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사이트에서 한 사이트의 데이터에 제한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다.
6. QR code
- 모바일 로그인을 위해 랜덤 토큰이 QR code 로 인코딩 한다.
- 코드를 스캔하면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로그인이 된다.
반응형
'Study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WT 인증 관련 참고 자료 (0) | 2023.12.07 |
---|---|
[CSS] bootstrap 테마 적용하기 (bootswatch) (0) | 2023.1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