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Study/Spring6 [Spring] Spring 시작하기 1. Spring 시작하기 개발환경세팅 spring 2.* java 11버전 권장 spiring 3.* java 17이상 버전 권장 java 20 , spring 3.1.3 depandencies spring web thyeleaf > html 만들어주는 템플릿 main 실행 SpringApplication.run(클래스명.class) spring 에서 톰캣 웹서버를 내장하고있어서 톰캣 웹서버를 자체적으로 띄우면서 실행 2.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maven, gradle 같은 빌드 툴들은 의존관계를 관리해준다. start-web 을 설치했기 때문에 관련된 의존 라이브러리가 함께 설치된다. 라이브러리에서 웹서버(Tomcat)를 내장하고 있어서 코드를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웹서버를 띄워준다. 2.1 스프링부트 .. 2023. 9. 24. [Spring] 2. DI(Dependancy Injection)란? DI 는 의존을 처리하는 방식이다. 의존에 대한 설계 패턴으로, 의존성 주입이라는 단어로 번역되어 사용된다.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DI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, 스프링을 잘 이해하려면 DI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다. public class A { private B b = new B(); } // 위의 코드보다 느슨한 의존성을 가짐 // 필요할 때만 b를 넣어서 사용 가능. public class A { private B b; public A(B b) { this.b = b; } } 위 의 코드의 경우 A클래스가 B클래스에 의존한다 라고 표현한다. 이렇게 두 클래스 간에 의존성이 있다면 몇 가지 단점이 있다. B 클래스를 상속 받은 하위 클래스 C로 변경하려고 할 때 A 클래스의 코드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.. 2023. 9. 24. 이전 1 2 다음 반응형